관련 기사: (5월 13일 연합뉴스)
http://www.yonhapnews.co.kr/bulletin/2017/05/13/0200000000AKR20170513032100017.HTML?input=1195m
랜섬웨어 이름:
WNCry, WCry, WanaCrypt0r, Wana Decrypt0r Ransomware
설명:
Windows SMB v1 서버 취약점을 이용
인터넷에 연결된 것만으로도 감염의 위험이 있음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관련 패치와 설명:
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7-010.aspx
패치 내용:
SMBv1이 특수 제작된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을 수정하여 취약성을 해결
업데이트 날짜:
2017년 3월 12일
XP SP3용은 5월 13일 추가됨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공식패치 다운로드:
(아래에 없는 윈도우즈 버전은 위의 링크에 가보시면 있습니다.)
윈도우즈 XP SP3 (한국어 버전) - 다운로드
윈도우즈 7 (32비트) - 다운로드
윈도우즈 7 (64비트) - 다운로드
윈도우즈 8 (32비트) - 다운로드
윈도우즈 8 (64비트) - 다운로드
윈도우즈 8.1 (32비트) - 다운로드
윈도우즈 8.1 (64비트) - 다운로드
*윈도우즈 10의 경우 용량이 크니 자체 업데이트를 이용하세요.
*윈도우즈 업데이트 서비스가 꺼져있으면 '업데이트를 컴퓨터에 적용할 수 없습니다.'란 오류가 발생합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대안 방법:
(윈도우즈 8.1 이상에서만 가능합니다.)
1. 제어판 -> 프로그램 -> Windows 기능 사용/사용 안 함
2. SMB 1.0/CIFS 파일 공유 지원 -> 체크 해제 -> 확인
3. 시스템 재부팅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관련 취약점 SMBv1 끄기:
패치 적용여부 확인 및 자동 다운로드:
'컴퓨터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irefox 포터블 32비트로 사용하기 (1) | 2017.05.19 |
---|---|
Adguard 설치 시 '연결이 안전하지 않음' 해결방법 (2) | 2017.05.19 |
안티 바이러스와 방화벽 추천 (2) | 2016.05.04 |
윈도우즈 7 vs 8.1 vs 10 간단비교 (0) | 2016.04.24 |
Avira Launcher 삭제하는 방법 (2) | 2016.04.19 |